본문 바로가기
Anatomy of Lifestyles

[소비자 심리] n번방에서 살펴볼 수 있는 익명성 anonymity의 두 얼굴

by Roloy 2020. 3. 25.

이번 n번방 사건을 알게되면서, 저 가면 뒤에 숨겨진 악마 같은 자들의 신상을 모두 밝히고, 수 많은 인격을 유린한 죄에 대해 무거운 처벌을 내려야 한다고 입장이다.

한편으로는, n번방 사건이 무엇이냐, 조주빈이 누구인가, 갓갓과 와치맨은 누구인가, 참여자 모두 신상을 밝혀야한다,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등의 얘기들로 대중들이 들끓고 있는데, 이 모든 것은 아마도 뒤에 가려진, 그리고 끝까지 잘 감싸줘야할 사건의 피해자들에 대한 걱정이 바탕이 되어 있을 것이다. 악마들의 덫에 걸려, 공포 속에서 해를 당할 수밖에 없었던 여성들에 대한 슬픔이 저들에 대한 분노로 표현되고 있는 것일테다. 상처는 아무는 것 같겠지만, 흉터는 평생 지워지지 않을테니. 부디 아픔이 치유되길 기원한다.


롤로이의 블로그는 AOB, 브랜드 해부를 주제로 대부분의 소재는 브랜딩과 마케팅으로 귀결하도록 구성하고있다.

이번 주제는 소비자 심리와 거리감이 있지만, 넓은 의미에서 소비자가 경험하게 되는 라이프스타일, 온라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구매, 그 상황에서 발생하는 고객불만, 전화 상담, 댓글....이러한 것들 속에 오늘 다룰 주제가 영향을 주고 있다.


다시 원래 주제로 돌아가보자. 텔레그램 n번방 참가자들이 행한 내용과 피해자들이 사건에 휘말리게된 과정에는 모두 "익명성"이라는 상황이 관련되어 있다고 본다. 
- 앞으로 n번방과 같은 제2의 사건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문가들이 이번 사건에 대한 진단과 처방을 내리고, 정신의학적인 언급도 많을테지만, 여기에서는 익명성에 대해서 언급해보고자 한다. 

1. 피해자의 심리

n번방, 박사방, 고담방 등등 조수빈 일당이 저지른 범죄에 어떻게 피해 여성들이 걸려들게 되었는지 살펴보게 되었다. 
범행수법 (나무위키에 있는 정리된 내용을 참고했다)

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사건 목록

 

(출처: 나무위키)

 

여러 사람들에게 무차별적으로 발송한 메시지에 수신자들은 당황할 수 있다. SNS를 하더라도 직접 만날 일이 없이, 닉네임으로 '익명성' 속에만 존재하다가, 개인을 콕! 찝어 보내오는 '가짜' 메시지에 누구나 불안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보내온 URL을 통해 트위터 계정에 접속하게되면, 이 순간부터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경찰을 사칭한 위협에 공포심을 느끼고 덫에 빠져들게 되는 것이다.

피해자들은 불안과 심리적 충격 속에서 불면증, 조울증, 우울증 등의 고통도 겪었다고 한다.

정상인이라면 절대 돈을 안 보낼 것 같은 피싱 사기에도, 멀쩡한 30대 대기업 직원도 속아 넘어가는 상황이니, 타인의 심리를 교묘하게 이용하려는 자들의 전략적 공격에 일반 인들은 무방비로 당하기 쉽상이다.

2. n번방 이용자들의 심리 ①

1969년, 스탠포드 대학, 미국 물리학회 팰로우, 필립 짐바도 Philip Zimbardo 교수의 '익명성과 학대행위'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연구에서, (짐바도 교수는 '스탠포드 감옥 실험', 루시퍼 이팩트로도 유명하다)
짐바도 교수는, 여학생들에게 실험실 가운을 입게하고, 한쪽은 이름표 없이 신분을 은폐할 수 있는 후드를 주고, 한쪽은 후드 없이 이름표를 달게했다. 그리고 각 그룹이 전기 충격을 주게했더니, 후드를 입은 참가자들이 신분 노출된 참가들 보다 두 배 더 충격을 가했다. 얼굴이 가려져있는 경우 많은 사람들이 무례하고 공격적이거나 불법적으로 행동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실험이다. 
n번방 이용자들은, 참가한 것 자체가 '악행'을 기대하고 들어온 상황에서 '익명성'까지 보장받으니, 불법적이고 가학적인 행동을 시키고, 그것을 '즐기게' 된 것이리라.

물론, 조주빈의 경우, 금전적 이득을 위해 n번방, 박사방 등을 개설하여 운영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지만, 조박사가 누구인지 철저하게 감추고 있는 상황은 '익명성'을 이용했다고 볼 수 있다. 금전적 이익을 위해서라면 불법도 저지를 수 있다는 도덕 불감증도 문제다. 

3. n번방 이용자들의 심리 ② 

n번방의 참가자들은 익명성이라는 가면을 쓰고 자신의 정체성을 허위로 꾸미는 '사이버 다중인격'을 가졌다고 볼 수 있다.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고싶은 심리, 여성에게 인정을 받고싶은 심리를 갖고있겠지만, 현실적으로는 여러 행위 요소들로 인해 인정을 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사람들은, 온라인 상에서 강자인척, 우위에 있는척, 부유한척 행동하며 약자를 마음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도 있다. 
˙ 록가수 스토커지만 자신의 미니홈피에는 록가수의 비밀 애인이라고 사칭하는 여성
˙ 중학교 중퇴생이나 독일 유학, 경희대 의대 합격, 요리사 지망 등을 사칭하며 공부법 스타 블로거로  활동했던 '비단꽃'
˙ 12년 의사, 12년 고미술상 등 수백 개 직업을 사칭하는 '다중이'

비겁하게 뒤에 숨어서 이것저것 시키고 낄낄댔을 모습 속에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라고 하는 '사이버 다중인격'가 아니겠는가?

그리고 이번의 주동자들이 재판을 받게되면 정신병을 이유로 감형을 바랄 수도 있을테지만, 과거 인천 초등생 살인사건에서와 같이, 정신과적으로 어떤 진단이 내려진다고 하더라도 범행시 피의자 자신이 하고있는 행위의 성질을 알았거나, 자신의 행위가 야기할 결과를 알고 있었거나, 자신의 행위가 처벌 대상인 범죄 행위임을 알았다면, 정신 질환과 상관없이 감형의 고려 조건이 되지 않는다는 점은, 관련자들도 알게될 것이다.

4. 익명성의 순기능

익명성의 두 얼굴. 익명성은 사람을 폭력적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작용도 한다. 군중이 재난을 당했을 때, 공연장 건물이 붕괴되어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는 상황에서는, 군중들은 옆 사람들과 강력한 연대감을 느끼고 질서있는 행동을 하려고 노력하거나 어려운 사람을 도와주려고 한다. 인간이라는 동물이 생존 확률을 높이고자 서로 연대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다.
1979년 영국 사회심리학자 존 터너가 발표한 '사회적 정체성 이론 Social identity theory'의 내용이다. 2002년에 한국인 모두가 "붉은악마"라고 외치며 한국인의 정체성을 공유했을때, 서로를 신뢰하며 힘을 합치게 되는 현상이다. 군중 안에서 정체성을 확인한 사람들은 판단 능력을 상실하지 않고 개인의 이익보다 집단의 공통 이해를 위해 결정을 내리기 때문에 군중은 정신적 공동체가 된다.

 

 

 

 

반응형

댓글